본문 바로가기
일상

당뇨병 고위험군, 선별검사 방법과 당뇨병 진단 기준 알아봐요

by soso_story 2023. 12. 19.

목차

    당뇨병

    1. 당뇨병 고위험군

    당뇨병은 혈당 조절 기능이 상실되는 만성 질환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 질환에 걸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특정 인구 집단은 당뇨병에 더 높은 위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고위험군은 당뇨병 선별검사를 받아 자신의 건강을 적극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1.1 비만

    비만은 당뇨병 발생의 주요 위험 요소입니다. 고체내지방량과 체지방량이 과다한 비만 환자들은 인슐린 저항성을 가지게 되고 이는 당뇨병의 발병 가능성을 크게 높입니다. 체중 관리는 당뇨병 예방과 관리에 있어 중요한 요소입니다.

    1.2 가족력

    가족력은 당뇨병 발생 위험을 상승시키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일차적 가족인 부모, 형제, 자매 중 한 명 이상이 당뇨병에 걸린 경우, 본인 역시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크게 증가합니다.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는 당뇨병 선별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2. 선별검사 방법

    당뇨병 선별검사는 당뇨병의 초기 단계인 당뇨병 전단계(Diabetes Prediabetes)를 포착하고 예방 및 조기 치료를 목적으로 합니다. 아래는 대표적인 당뇨병 선별검사 방법입니다.

    2.1 공복 혈당 검사

    공복 혈당 검사는 최소 8시간 동안 음식 섭취를 자제하고 혈당을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일반적으로 공복 혈당이 100~125mg/dL일 경우 당뇨병 전단계인 공복 혈당장애(Fasting Plasma Glucose, FPG) 및 당뇨병의 의심을 받게 됩니다.

    2.2 당부하검사(경구 포도당 테스트, OGTT)

    당부하검사는 공복 혈당 검사 이후에 포도당 소량을 섭취한 후 2시간 후의 혈당을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75g 포도당을 섭취하고 2시간 후 혈당이 140~199mg/dL일 경우 당뇨병 전단계 또는 당뇨병의 의심을 받게 됩니다.

    3. 당뇨병 진단 기준

    당뇨병 진단은 당뇨병 선별검사 결과와 증상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아래는 당뇨병 진단을 위한 일반적인 기준입니다.

    3.1 공복 혈당

    공복 혈당이 126mg/dL 이상일 경우 당뇨병으로 진단됩니다. 당뇨병의 진단 시에는 공복 혈당 2회 검사가 필요합니다.

    3.2 당부하검사(경구 포도당 테스트, OGTT)

    당뇨병의 의심이 있는 경우 당부하검사를 실시합니다. 75g 포도당을 섭취하고 2시간 후 혈당이 200mg/dL 이상일 경우 당뇨병으로 진단됩니다.

    3.3 HbA1c 측정

    HbA1c 측정은 최근 2~3개월 동안의 평균 혈당을 파악하는 검사입니다. HbA1c 수치가 6.5% 이상일 경우 당뇨병으로 진단됩니다.

    결론

    당뇨병은 중대한 질환으로, 고위험군에 속하는 사람들은 적극적으로 당뇨병 선별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당뇨병 선별검사에는 공복 혈당 검사와 당부하검사 등이 있으며, 이러한 검사 결과를 토대로 당뇨병 진단이 이루어집니다. 정기적인 검사와 건강한 생활습관은 당뇨병 예방과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1. 당뇨병 고위험군에 속하는 사람은 누구인가요?

    당뇨병 고위험군에는 비만 환자, 가족력이 있는 사람 등이 포함됩니다.

    2. 당뇨병 선별검사는 왜 중요한가요?

    당뇨병 선별검사를 통해 당뇨병의 초기 단계를 파악하고 예방 및 조기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3. 당뇨병 진단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당뇨병 진단은 공복 혈당 검사, 당부하검사, HbA1c 측정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4. 당뇨병 예방을 위해 어떤 생활습관이 중요한가요?

    정기적인 체중 관리, 균형 잡힌 식단, 적절한 운동, 스트레스 관리 등이 당뇨병 예방에 중요합니다.

    5. 당뇨병 환자는 어떻게 생활해야 할까요?

    당뇨병 관리에는 식이요법, 운동, 혈당 모니터링, 약물 치료 등이 필요합니다. 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관리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